사회적 금융 중개기관 발굴·육성
사회적경제 규모 확대에 따른 사회적금융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적금융 전문 중개기관(소매금융)을 육성과 지역중개기관 인큐베이팅을 지원합니다. 지속적으로 지역주체 의견수렴 및 현황을 파악하고 지자체 및 지역 사회적경제 중간지원기관(조직) 등과의 논의를 통해 지역기금의 조성 및 지역 중개기관 설립을 위한 역량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 사회적경제기업 대출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은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협력해 비수도권 사회적경제기업 및 네트워크협의체 등 제도권 금융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사회적 금융 전용 상품을 공동개발하고 사회적경제기업 대출을 지원합니다. 대출대상, 한도, 자금용도 등 중개기관의 필요를 반영한 차별화된 대출을 지원하는 등 사회적 금융 생태계 확대 및 다양한 사회적경제조직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투융자 현황 (1)한국 마이크로크레디트 신나는조합]
한국 마이크로크레디트 신나는조합은 전국 (예비)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60개월, 1억원을 대출하는 사회적 금융 상품을 구성하고 대상에 특화된 사회적 금융 공급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의 경영개선과 성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 비수도권 지역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의무 지원비중을 50%로 설정하는 등 지역 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대출사업 수익의 일부를 대손충당적립금으로 유보하여 충당할 수 있도록 금융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의 재대출형 지원사업의 부담 요인이였던 대손부담 해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상 | 사회적경제기업 대출 |
형태 | 대출 |
기간 | 6년 (‘20.1~’26.1) |
SVS 약정액 | 1,500백만원 |
결성액 | 1,500백만원 |
중개기관 | (사)한국 마이크로크레디트 신나는조합 |
[투융자 현황 (2)재단법인 밴드]
밴드는 비수도권 지역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지원비중 70%를 의무화하고, 공제기금에 가입한 사회적경제기업 회원을 대상으로 상품을 구성, 대출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제기금 성격의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을 통한 자금공급으로 사회적경제 자조기금 활성화 및 중개기관 규모화에 기여합니다. 또, 중개기관에 대한 무이자 대출로 사회적경제기업에는 장기·저리의 자금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대상 | 사회적경제기업 대출 |
형태 | 대출 |
기간 | 6년 (‘20.1~’26.1) |
SVS 약정액 | 1,500백만원 |
결성액 | 1,500백만원 |
중개기관 | (재)밴드 |
[투융자 현황 (3)(사)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전국주민협동연합회]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의 특별기구인 전국주민협동연합회를 중개기관으로, 금융접근성이 낮은 자활기업에 특화된 금융을 공급하고 경영개선 및 성장에 기여합니다. 설립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자활기업을 주 대상으로 자산화 및 점포임대, 장단기 운영자금 등을 지원하며,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공급액을 통한 비수도권 자활기업 의무 지원비중은 50%입니다.
지역자활센터의 참여주민들과 지역의 저소득주민들 중심의 자조기금인 전국주민협동연합회를 사회적 중개기관으로 육성 지원하고, 자활기업에 대한 대출자금 공급 확대와 자조기금의 성장을 통해 민간부문의 사회적 금융 공급을 촉진합니다.
대상 | 사회적경제기업 대출 |
형태 | 대출 |
기간 | 4년 (‘20.1~’24.1) |
SVS 약정액 | 1,400백만원 |
결성액 | 1,400백만원 |
중개기관 | (사)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전국주민협동연합회) |
2. 경남사회가치금융대부 설립출자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은 신생 또는 초기단계 지역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 육성을 위해 경남사회가치금융대부에 출자 참여하였습니다. 경남사회가치금융대부는 경남도내 사회적경제 당사자 조직들과 중간지원조직들이 주주로 참여한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으로, 지역 사회적경제기업들의 비즈니스 확대와 성장에 기여하고자 설립(‘19.12월)되었습니다.
임팩트
사회적경제 지원조직과 협력하여 사회적 금융 전문기관 설립을 지원하고, 경남지역 사회적경제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높여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합니다. 지역기반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 설립을 지원한 첫 번째 사례로, 자금지원 외에도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용 대출 관리시스템 도입을 지원하는 등 중개기관의 안정적 정착과 성장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였습니다. 경남사회가치금융대부는 지역 수요에 기반한 사회적 금융 상품을 설계하고, 경남 사회적경제기업을 대상으로 자체 대출사업(첫 걸음 2020대출)을 시작하였습니다.
[투융자 현황]
대상 | 경남사회가치금융대부 설립출자 |
형태 | 투자 |
기간 | - |
SVS 약정액 | 10백만원 |
결성액 | 51백만원 |
중개기관 | - |
3. 사회적금융 역량강화 교육
사회적금융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금융 전문 중개기관(소매금융)을 육성 및 지역 중개기관 인큐베이팅 등을 지원합니다.
[지원내용]
지역중개기관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사회적금융 실무교육 | 호남지역 사회적경제조직과 협력하여 ’20년 7월 시범사업 진행 후 ’21년부터 전국 확대 |
형태중개기관 육성을 위한 기초 조사연구 | 법인형태별 설립요건과 특성, 대출상품 설계 툴, 지역자산화사업 융자사업 구조 설계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