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 출판 · 국제협력
사회적금융 저변확대 및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연구 및 출판, 국제협력 사업을 추진합니다.

정책연구
국내외 사회적금융 동향분석, 실태조사 등 실효성 있는 정책 연구와 연구 성과의 공유를 위한 리포트 발간, 토론회 등을 진행합니다.

도서발간
해외 혁신모델의 지식전수, 사회적가치 확산 등을 위한 전문서적, 자료집, 번역서 등을 발간합니다.

국제협력
해외 혁신모델의 지식 전수를 통한 국내 접목 가능성 모색 등 상시적인 협력관계의 구축으로 사회적금융의 문제 해결력을 높여나갑니다.
사업소식
- [SVS 인사이트] 플랫폼 협동주의(Platform Cooperativism)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은 국내외 사회적경제를 둘러싼 다양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사회적금융 생태계 확장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SVS 인사이트’를 발행합니다. 첫호는 '플랫폼 협동주의(Platform Cooperativism)_양석원' 입니다. 디지털 플랫폼이 단순히 소비자와 제공자의 매칭 시스템을 넘어 디지털플랫폼이 가지고 있는 장점은 승계를 하고 단점은 협동조합 모델을 통해서 보완할 수있는 대안적 사고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그 방법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술의 협력과 통합의 효과를 바탕으로 ‘협동/협력 플랫폼’을 지향하는 방향에 대한 플랫폼 협동주의의 대안적인 주장과 사례들을 담았습니다. SVS 인사이트 01플랫폼협동주의(Platform Cooperativism) 연구자 양석원(자유학교 공동설립자)목차 I. 들어가는 말 04II. 플랫폼 자본주의 VS 플랫폼 협동주의 05III. 노동자 소유 협동조합 06 1. 이탈리아, Doc Servizi 072. 프랑스, 코오파남(Coopaname)과 사업고용협동조합(BEC ; Business and employment cooperative) 08 3. 벨기에, 스마트(SMart)와 유럽 네트워크 094. 핀란드, Lilith 11IV. 참여형 소비자와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 111. 이탈리아, 음식과 지속가능성 영역에서 참여적, 지역적, 자기 조직적 협동조합 112. 프랑스, 이동성과 협동조합 형태의 개인과 개인 간 거래시장 123. 스페인, 협동적 시민을 위한 에너지 민주화 및 커뮤니티 허브 12V. 플랫폼 노동과 노동자 소유 협동조합 13VI. 소비자 플랫폼과 다중이해관계자 회사 14VII. 정리하는 말 15참고문헌 16--------------------------발행일 2020년 5월 19일발행처 재단법인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주 소 04538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11길 20 서울YWCA 6층전 화 02-2088-3288메 일 info@svsfund.org홈페이지 www.svsfund.org본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의 무단 전제 및 복제를 금합니다.본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을 인용하려면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가난한 사람들의 선언 : 사회연대경제, 아래로부터의 대안 (한국어판)
가난한 사람들의 선언사회연대경제, 아래로부터의 대안 Manifesto of the Poor: Solutions Come From Below 지은이 프란시스코 판 더르 호프 보에르스마 ㅣ 옮긴이 박형준 목차 한국어판 출간 기념 서문 _ 마르탱 반 덴 보르 7추천의 말 _ 송경용 12서문 _ 제프 무어 15서론 가난한 사람들: 경제위기에 직면하여 191장 영구적인 위기 상태재앙 같은 자본주의 27자본주의라는 신의 실패 34가난은 저주가 아니다 38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44행복? 그게 뭐지? 49국가는 무서워! 532장 민중이 주도하는 지구화성장, 무엇을 위해? 73자선은 사절 78윤리의 공격 83우리는 계속 나아간다 90악마는 다국적 옷을 입는다 94가난한 사람들의 소소한 철학 973장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반대한다는 것은 제시한다는 것이다 103‘사회적 사업’의 목표들 108대안적 흐름 110더욱더 사회화된 인터넷 116보기 위해서는 믿어야 한다 119국내총행복 123민중이 세계를 규제해야 한다 125결론 나는 다른 세계를 꿈꾸었다 130‘저스트어스!’ 소농장센터 134옮긴이 후기 137저자소개 _프란시스코 판 더르 호프 보에르스마 Francisco Van der Hoff Boersma네덜란드 출신의 가톨릭 노동사제이다. 멕시코 오지의 커피 농장 노동자들과 함께 살면서 그들과 함께 협동조합을 만들고, 최초의 공정무역 라이선스인 ‘막스 하벨라르Max Havelaar’를 만들어 대안경제 운동을 펼쳐왔다. 1939년 네덜란드 남부의 더립스에서 태어났다. 가톨릭 학교인 랏바우트대학교에 다니면서 학생운동을 주도했고, 독일에 유학해 신학과 정치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0년 칠레의 산티아고로 가서 노동사제로 일하던 중 1973년 쿠데타가 일어나자 멕시코로 옮겨 멕시코시티 슬럼가의 빈민들과 함께 생활했다. 7년후 멕시코 남부 산악 지대인 오악사카로 가 주로 커피 농장에서 일하는 그곳 원주민 공동체 노동자들과 함께 살면서 그들의 참혹한 삶을 목도한다. 노동자들을 착취하는 경제체제에 저항하고 그들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1981년 UCIRI(이스트모 지역 원주민 공동체 협동조합) 결성을 주도한다. 이 조직을 통해 코요테라고 불리는 국제 중개상을 거치지 않고 농민들이 직접 커피를 수출하는 경로를 만들었다. 1988년에는 경제학자 니코 로전Niko Roozen과 함께 공정무역 라이선스 ‘막스 하벨라르’를 발급하며 대안 경제 운동을 세계적인 차원으로 확장해나갔다. 2005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최고 명예훈장을 받았고, 2006년 유럽회의The Council of Europe로부터 ‘남북협력상’을 받았다.한국어판 출간 기념 서문_마르탱 반 덴 보르 Martin Van Den Borre*“우리는 사회연대경제를 발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 • 프란시스코 판 더르 호프 보에르스마“자선은 철폐해야 한다. 대신 그 자리에 정의를 세워야 한다.” • 노먼 베순 이 책의 한국어판 출간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내가 이렇게 축하 서문으로 연을 맺을 수 있어 무척 영광이다. 지은이는 많은 사람들의 삶을 바꿔놓은 운동을 일으키는 데 공헌한 실천가이다. 내가 처음 보에르스마 신부를 만난 때는 그가 시엠브라협동조합 La Siembra co-op을 방문하려고 잠깐 오타와에 들른 2007년이다. 그보다 8년 전에 신부님은 북아메리카에서 코코아와 설탕의 공정무역을 개척했다. 당시 시엠브라 협동조합의 브랜드 명은 코코아 카미노Cocoa Camino였는데, 교회 지하의 구멍가게에서 시작해 수백만 달러 규모의 대안 무역 조직으로 성장했다. 지금도 세계 곳곳의 서른다섯 개 조직 5만5000명에 이르는 소농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시 우리는 몇몇 거대 기업들과 다국적기업들과의 경쟁에 직면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공정무역 인증을 받은 제품들을 입맛에 맞게 골라 자신들의 판매 품목에 포함했다. 그들이 공정무역 시장에 참여하는 비중은 그들의 전체 사업에 비하면 극히 작았다. 이 기업들의 공급사슬에서 종종 아동노동착취가 자행되었다는 의혹이 증명되기도 했다. 특히 코코아 산업 쪽이 심했다. 이들의 얄팍한 움직임 속에 자신들의 지배와 특권을 영속시키려는 속셈이 들어 있다는 사실은 너무나도 뻔했다. 이러한 공정무역의 주류는 강성 공정무역주의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이때가 바로 공정무역의 도덕성이 약화되고 운동 안에 심한 불화가 촉발된 시기였다. 이른바 “연성 공정무역” 또는 희석된 공정무역이 부상한 것이다.우리의 생산자 동업자들과 이퀴타Equita, 이퀄익스체인지Equal Exchange, 저스트어스!Just us!, 그리고 에시커블Ethicable 같은 대안 무역 조직들은 협동조합이나 여러 사회적 경제 형태로 자신들을 조직하는 길을 택했다. 민주주의와 소유권이 경제와 사회정의를 지탱하는 기둥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이런선택을 한 것이다. 우리가 명명한 이 사회연대경제는 공정무역의 초석이었다. 이를 통해 생산자에서 소비자에 이르는 공급사슬을 따라 연관을 맺는 다양한 사람들이 의미 있게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을 고용하거나 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들의 소유권과 이익에 대해 공정한 지분을 가질 수 있다.다양한 형태의 착취와 배제에 기초한 사고방식을 체계적으로 증식하고 정당화하는 사회에서 공정무역을 제안한 것은 매우 급진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정보, 지식, 권력, 부의 분배에서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고 기초 자원을 ‘커먼즈 commons’로 보는 시각이 도입되어야 한다. 지배적인사고 체계에 견주면 심오한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하는데, 이는 의식의 탈식민지화라고 할 수 있는 개인과 집단 의식의변화를 수반한다.보에르스마 신부는 사회정의를 이루는 오직 한 가지 접근방식은 있을 수 없으며, 오직 한 가지 형태의 품위 있는 삶을 기대해서도 안 된다고 말한다. 해결책은 다양하며, 여러 모델과 표현 방식을 모색해야 한다. 또 다양한 문화와 삶의 맥락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적 표현과 열망에 맞게 고쳐나가야한다. 또한 해결 방식을 찾으려는 지역적 맥락에 잘 어우러져야 한다. 자연과 마찬가지로 인간 사회에서도 다양성은 회복력을 키우고, 공생은 가능성을 연다. 생태적 전환이 경제와 생산 체제에 심대한 변화를 요구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이렇게 하려면 다양한 운동 주체가 지속적으로 협력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긴급하게 요구되는 전복적인 체제전환을 실현할 수 있다. 하나의 종species으로서 우리의 가장 큰 도전 과제들 중에는 공동체 만들기,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살기, 그리고 평화 이루기 등이 있다. 만약 우리가 긴급하게 요구되는 지구적변화를 질서정연하게 이루길 원한다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서로 차이를 존중하며 사는 방법을 반드시 배워야 한다. 이 점에서 우리는 원주민 형제자매들에게 배울 점이 많다.우리의 운동에서, 그리고 국제 조직에서 그들이 강력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 한다. 보에르스마 신부가 원주민 공동체에서 살면서 UCIRI(이스트모 지역 원주민 공동체협동조합)를 만들었던 수십 년 세월 동안 그들의 지혜와 지식을 융합해냈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가 많은 저작을 통해 우리에게 그런 지혜와 지식을 나누어주었기에 깊이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우리 한국의 동료들이 지난 수십 년 동안 국제적인 가교를 놓는 사업을 훌륭하게 주도한 데에 경의를 표하고 싶다. 이렇게 중요한 책을 한국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펴낸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일이다. 오악사카 언덕에서 건너온 이 책에 담긴 언어들이 우리의 대안 무역 조직들과 지세프GSEF, 시티즈CITIES, 리페스RIPESS, 비아캄페시나 Via Campesina, 에스피피-글로벌SPP-GLOBAL 같은 국제 조직에서 우리가 펼친 지속적인 협력을 자극하고 강화하리라 확신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세계 전역으로 사회연대경제의 범위를 확장하고 강화할 것이다.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마르탱 반 덴 보르(*CITIES(사회연대경제의 지식 전수와 혁신 확산을 위한 국제센터) 이사, 퀘벡 공정무역협회 이사, 멕시코 SPP-Global(소생산자 글로벌 로고) 대사)추천의 말 _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이사장 송경용 《가난한 사람들의 선언― 사회연대경제, 아래로부터의 대안》 은 저자 프란시스코 판 더르 호프 보에르스마 신부님의 탄탄한 이론, 깊은 영적 통찰과 오랜 기간의 실천을 알리며 우리에게 새로운 경제, 새로운 세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네덜란드 출신인 프란스시코 신부님은 1973년 가장 낮은 곳에서 가난한 이들을 섬기고자 멕시코로 떠나 노동사제 worker-priest로 멕시코시티 슬럼가 빈민들, 멕시코 남부 오악사카주의 가난한 농부들과 수십 년을 함께 생활하며 빈곤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는 이들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깊게 고민하게 됩니다.프란시스코 신부님의 해답은 커피를 헐값에 넘기고 고리채에 시달리는 농민들에게 커피 생산의 이윤을 나누고, 농부들의 협동을 돕는 공정무역 운동이었습니다. 신부님은 중간 단계에서 이윤을 가로채는 ‘코요테’라고 불리는 지역 거래상을 거치지 않고 농부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한편, 농부들 스스로 연대할 수 있도록 이들을 모아 1981년 UCIRI라는 커피 생산자 협동조합의 출범을 돕습니다. 47년 전 프란시스코 신부님은 농부들과 함께 구성원이 서로 연대하고 결정하는 민주성, 경제 활동으로 얻은 수익을 생산자와 나누고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공정성, 그리고 무엇보다 이 모든 것을 구성원 스스로 실현하는 자주성을 추구하는 사회운동을 상상했습니다. 영국의 페어트레이드 Fairtrade 재단에 따르면 이러한 상상력은 현재 전 세계 약 170만 명의 농부들과 노동자들이 73개국으로부터 공정무역 인증을 받은 약 1700개의 생산자 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을 정도로 국경을 넘어 아름다운 열매를 맺었습니다.이윤의 극대화가 아닌 사람을 경제 활동의 중심에 둘 때 우리는 기존의 방식과 다른 상상력을 발휘해 우리 주변의 현실과 나아가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프란시스코 신부님의 이야기를 담아낸 《가난한 사람들의 선언》의 한국어판 출간을 통해 이러한 시도들이 더욱더 많아져 우리 사회가 한걸음 더 진보하는 데 이바지하기를 바랍니다. 이 책의 한국어판 출간을 허락해준 지은이 프란시스코 신부님과 신부님의 활동을 소개해준 CITIES(사회연대경제의 지식 전수와 혁신 확산을 위한 국제센터)의 마르탱 반 덴 보르님, 훌륭한 번역으로 책의 가치를 드높여준 박형준 박사님, 정성껏 책을 만들어준 마농지 출판사에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지은이 프란시스코 판 더르 호프 보에르스마 옮긴이 박형준펴낸이 김미정편집 김미정, 박기효디자인 표지 양진규, 본문 김명선펴낸곳 마농지1판 1쇄 발행 2020년 4월 30일등록 2019년 3월 5일 제2019-000024호주소 (02724) 서울시 성북구 길음로 74, 510동 1301호전화 070-8223-0109팩스 0504-036-4309이메일 shbird2@empas.comISBN 979-11-968301-4-4 03300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 t p://s e o j i.n l.g o.k r)와 국가자료종합목록 구축시스템 (http://kolis-net.nl.go.kr)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CIP제어번호 : CIP2020017781)::이 책의 한국어판 저작권은 저작권사와 독점 계약한 (재)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에 있으며 출판권은 마농지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도서가격은 12,000원이며, 인터넷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등 온라인 서점(5/16일부터)과 교보문고 등 오프라인 서점(5/18일부터)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 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 : 디지털 배포판(PDF)
down_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 : 디지털 배포판 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 지역공동체의 변화와 사회 혁신을 위한 가이드북 펴낸날 2020년 4월 30일지은이 캔자스대학 지역보건발전센터(Center for Community Health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Kansas)옮긴이•엮은이 재단법인 와글wagl.net / info@wagl.net 펴낸곳 (재)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펴낸이 송경용 ※ 이 저작물의 원본은 미국 캔자스대학 지역보건발전센터(Center for Community Health and Development)의 ‘커뮤니티 툴박스(Community Tool Box)’입니다. 한국어판의 저작권은 (재)한국 사회가치연대기금에 있으며, 재단법인 와글이 번안과 추가 집필을 담당했습니다. 본 저작물은 비매품 으로, Creative Commons License의 ‘BY-NC-SA 4.0’의 적용을 받습니다.저자 | 캔자스대학 지역보건발전센터 캔자스대학 지역보건발전센터(Center for Community Health and Development)는 참여연구 및 지역사회 역량 강화 사업을 오랫동안 추진해 온 연구 기관입니다. 특히 ‘커뮤니티 툴박스(Community Tool Box)’ 등 지역사회 연 구, 평가, 교육, 훈련을 위한 광범위한 지원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2004년 세계보건기구(WHO)의 협력연구센터 로 공식 지정되었습니다. 발행인 | 재단법인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대한민국 최초의 사회적금융 도매기금으로 지속가능한 사회적금융 생태계 발전과 사회적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설립 되었습니다. 사회적경제 인내자본 공급과 사회적목적 프로젝트 지원,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육성을 목표로 사회적경 제의 발전과 사회적가치 확산을 위해 필요한 금융 기반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구성 | 재단법인 와글 와글(WAGL, We-All-Govern Lab)은 ‘시민이 만드는, 모두를 위한 민주주의’를 목적으로 설립된 공익 재단법인입 니다. 다양한 시민들이 스스로 기획하고 제안하며 실천적으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시민 역량을 강화하고 차세 대 리더를 발굴 지원하는 사업을 합니다. 소수 엘리트나 전문가에 의존하는 시스템을 뛰어넘어, 평범한 시민이 변화 와 혁신의 주체가 되어 집단지성을 발휘하는 대안적 모델을 연구하고 설계합니다. 번안 및 집필 이진순 재단법인 와글 이사장, 『듣도 보도 못한 정치』 저자 (1부, 2부-1, 7단계, 3부)장혜영 재단법인 와글 전 사무국장, 「어른이 되면」 영화감독 (2부-3, 6단계)장병권 재단법인 와글 사무국장 (부록)조남주 출판 기획 및 편집자 (2부-2, 4, 5단계한국의 독자들에게 우리 캔자스대학 지역보건발전센터(University of Kansas Center for Community Health and Development)는 변화와 개선을 위한 경험과 지식을 한국의 독자들과 시민활동가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공유는 그 자체로 ‘모두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서 삶의 환경과 조건을 향상시키고자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라는 우리의 비전과 일치합니다.1990년대 초부터 우리 센터는 지역사회 참여에 필요한 역량을 구축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선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커뮤니티 툴박스(Community Tool Box, https://ctb.ku.edu)’는 건강한 지역공동체와 사회 변화를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리소스입니다.‘커뮤니티 툴박스’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은 지역사회 차원이든 전 세계적인 차원이든, 자신들의 삶에 영향을 주는 조건을 변화시키기 위해 이미 함께 일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전제 위에 서 있습니다. 이런 정신에 근거해 ‘커뮤니티 툴박스’는 문제의 발견과 해결 방안 모색, 계획과 실행, 평가 그리고 지속가능한 실천 등 핵심 역량과 관련해 지역사회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도움말과 도구를 제공해 줍니다.부디 이 책이 여러분 공동체의 변화와 혁신을 향한 노력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의 활동에 행운이 있기를 기원합니다.평화의 인사를 전합니다.캔자스대학 지역보건발전센터 커뮤니티 툴박스 팀인사말‘커뮤니티 툴박스’의 한국어판 『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지역공동체의 변화와 사회혁신을 위한 가이드북』의 출판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1994년 미국 캔자스대학에서 처음 개발한 커뮤니티 툴박스는 이제 230여 개국에서 매년 약 600만 명 이상의 시민이 사용하는 학습 플랫폼이 되었습니다.커뮤니티 툴박스의 핵심을 추려 담고 한국의 현실에 맞게 내용을 각색한 이번 한국어판 『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의 발행으로, 한국의 독자들이 풍부한 내용의 교육 자료를 만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내가 속한 공동체에서부터 변화가 만들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전략의 수립과 함께 다양한 연대가 필요합니다. 또한 노력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다음 단계의 혁신을 만들기 위한 교훈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는 변화를 만드는 과정의 각 단계별로 상세한 안내와 조언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한국의 시민사회가 한층 강화된 역량으로 우리 사회 곳곳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끌어낼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세상을 바꾸는 캠페이너』의 발행을 흔쾌히 허락해 준 캔자스대학 측과 한국어판의 내용을 엮어 준 재단법인 와글 등, 이 책이 세상에 나올 수 있기까지 도움을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이사장 송경용도서 문의_기획홍보팀 T. 070-4355-2751 E. info@svsfund.org 이 책의 한국어판 저작권은 (재)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 The 10th ASIA Future Forum (10/23-24) 참여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에서는생태와 경제·사회가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과정임을 인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재생하는 상상력을 펼치고자 합니다. 포용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 사회적 가치와 경제의 역할, 노동의 미래와 사회적 대화, 사회보장의 재구성 등 생태·경제적 균형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행사개요 행사명 : 2019 제10회 아시아미래포럼 The 10th ASIA Future Forum (2019AFF)주제 : 대전환_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합의 Great Transformation: The New Deal for a Sustainable Future 주최 : 한겨레신문사 주관 : 한겨레경제사회연구소 협력 : 환경부 일시장소 : 2019.10.23(수) ~ 2019.10.24(목) / 용산 서울드래곤시티호텔, 3층 그랜드볼룸공식홈페이지 : http://www.asiafutureforum.org주요연사 제러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재단 이사장리처드 세넷 영국 런던정경대학교 사회학 명예교수하오량 쉬 유엔개발계획(UNDP) 정책 및 프로그램 지원 담당 국장샘 키민스 기후그룹(The Climate Group)대표 / RE(Renewable Energy)100 이니셔티브 총괄 대표왕후이 중국 칭화대학교 인문학부 교수사스키아 사센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사회학 석좌교수신도 에이이치 일본 쓰쿠바대학 명예교수노나카 도모요 로마클럽 집행위원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세션소개 (2일차 / 10월 24일)주제 : 포용사회로 가는 길, 금융 다시보기 (with 신용보증기금,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일시장소 : 13:30 ~ 16:30 ㅣ세션 4 [한라A]포용사회를 위한 정책금융, 은행/투자/연기금 등 주류 금융의 변화와 노력과 포용금융으로의 이행을 위한 사회적 금융의 역할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적 금융’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쟁점과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논의하며, ‘포용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모색 (※ 포용적 금융이란 모든 경제주체가 제도권 금융회사가 제공하는 다양한 금융서비스에 효과적인 가능한 상태(CGAP, 2011)를 의미)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으로서의 ‘사회적 경제 기업 평가 시스템’ 소개, 활용 및 발전 방안 모색자세한내용보기
- 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2nd Edition) 한국어판 발간
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 한국어판 (GUIDE FOR ANALYSI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_2nd Edition) 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 한국어판 피에르 샤렛, 끌로드 도리옹 지음 | (재)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발행 301쪽 | 30,000원 | 2019년 9월 9일 초판PDF 내려받기 책소개 퀘벡 연대금융 관련 전문가들이 공동작업한 <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는 사회적경제 자문단, 애널리스트, 학계, 재정단체, 펀드/프로그램 매니저 등 사회적경제기업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 그 특징을 분석한다는 것이 본 가이드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는 협동기업 혹은 자금지원을 위한 프로젝트의 사회적 혹은 경제적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위한 실용적이고 편리한 툴이 될 것이다.: 이론에서 실습까지 총괄적인 내용을 모두 아우르는 구성: _ 사회적경제기업의 현실에 대한 이해_ 사회적경제기업의 운영 원칙과 규범 이해_ 사회적경제기업의 구성요소 분석_ 기업성공을 위한 조건을 검토_ 정보에 기반한 재정결정_ 기업 발전에 대한 효율적 사후평가_ 사회적 성과측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제공저자소개(공동저자) 피에르 샤렛. 코디네이터 겸 에디터 ㅣ 끌로드 도리옹. 에디터피에르 샤렛 ㅣ 협동기업 분야 MBA 학위 소지. 1995년부터 협동기업 설립을 위한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관련분야에서 다양한 단체의 이사진을 역임했으며 사회적경제 단체의 경영진 및 금융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RISQ 선임 금융 애널리스트로 2012년부터 재직하고 있으며 몬트리올 퀘벡 주립대 대학원에서 협동기업의 재무분석에 관한 강의를 맡고 있다.끌로드 도리옹 ㅣ 1987년부터 MCE 컨설팅의 상임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경제 전문가. 10여개국, 200여개의 협동기업에서 활동했다. 사회연대경제(SSE)국제포럼과 국제사회적경제투자연합(INAISE)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국제연구정보센터(CIRIEC), 국제노동기구(ILO)와 출판작업을함께 하고 있다.머리말 마가릿 멘델 교수, 콩코르디아 대학교퀘벡 주 정부 공로훈장, 퀘벡 학술문화 훈장 수훈자이자 마리 앤 트리 에르트랑상, 프랑스지식 협회(ACFAS)에서 시상하는 피에르당서로 사회적 공헌 연구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사회적경제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캐나다 칼폴라니정치경제연구소의 소장으로 재임 중이다."이 <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는 2003년 프랑스어로 첫 출판 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사회적경제와 연대금융은 진화해왔고, 달라지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정판에 대한 수요가 있었습니다. 2017년, CAP 파이낸스의 회원들은 함께 협력해서 이 새로운 가이드를 출판했습니다. 2003년 초판 발행 때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가이드를 활용할 수있도록 트레이닝 세션을 디자인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2판에서는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이드의 사용자들과 교감할 수 있는 더 나은 수단들이 포함되었습니다. 본 가이드에 기반한 이런 트레이닝 세션들은 RISQ가 참가자들에게 사회적경제의 특성과 목적에 대해 환기하고 소개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합니다. 개발된 사회적금융 관련 상품 및 제도들이 실무적으로 사회적경제의 발전과 성숙을 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에 기반한 트레이닝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트레이닝들에서는 가이드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에 맞추어, 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 이익, 사회적, 환경적 변화에 대한 의지와 사회적경제기업의 임팩트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 등 많은 질문과 투자자들에게 닥친 실질적인 과제들, 어떻게 사회적경제기업의 조직 구조의 건전성을 평가할지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루며 실무 적용을 돕고 있습니다." (한국 독자를 위한 서문 중에서)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 차례 1. 가이드 소개 및 사용법 2. 사회적경제기업 PART A - 퀘벡의 사회적경제기업 PART B - 사회적경제기업의 개념과 특징 3. 사회적경제기업 분석하기 PART A - 단체 PART B - 기업 4. 재무 분석 5. 투자 결정 6. 기업활동에 대한 사후평가와 사회적 성과측정 181마치며 참고문서발간사 오랜 준비 끝에 퀘벡 사회적금융 네트워크인 CAP 파이낸스의 <사회적경제기업 분석가이드> 한국어판을 정식으로 출판할 수 있게 되어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퀘벡은 1990년대 높은 실업률과 경제불황을 사회적경제를 통해 극복하여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이룩해 전 세계적으로 ‘퀘벡모델’에 대한 높은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퀘벡의 성공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우선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인 합의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시민사회와 노동조합 등이 함께 의논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공동 기획을 통한 정책 만들기(Co-construction of public policy) 입니다. 퀘벡은 자발성에 기초한 아래로부터의 풀뿌리 운동과 이를 뒷받침하는 중앙/지방정부의 행정 지원이 결합해 수평적인 거버넌스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둘째로 이러한 거버넌스가 실제로 작동해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사회적 자원을 모아 인내자본, 연대금융과 같은 사회적경제기업에 특화된 다양한 금융도구를 개발한 것에 그 비결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한국도 사회적경제를 통해 다양한 사회문제를 시민주도로 해결하고 포용적인 경제성장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단위에서도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또한, 금융 분야에서도 민간과 공공에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지원을 다양하게 늘려가는 한편, 2019년 1월에 는 한국 최초의 사회적금융 도매기금인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이 설립되어 보다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퀘벡과 한국의 사회적경제는 지난 20년간 다양한 차원의 교류를 통해 깊이 있는 신뢰 관계를 구축해왔습니다. 이번 사회적경제기업의 분석가이드 출판도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해온 결과물이자 상호신뢰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이 책이 퀘벡이 사회적경제기업이 창출하는 재무적, 사회적 가치를 어떠한 방법으로 평가, 분석하고 또 그에 기반한 금융지원 도구를 만들어왔는지 살펴보고, 우리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얻어 한국의 사회적경제영역이 한 뼘 더 성숙해지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끝으로 이 책을 번역출판 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 퀘벡의 C.I.T.I.E.S., RISQ, CAP 파이낸스에 깊은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2019년 9월 ㅣ 송경용 (재)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이사장도서 구입과 관련하여 추가 안내드립니다. 해당 도서는 인터넷 서점 및 일반 서점에서는 판매하지 않습니다. 사회적경제기업 관계 실무자, 분야 연구자, 학생분들께 10% 할인을 제공합니다.도서 배송료는 별도입니다. (요청 시 착불 배송, 선불 시 권수에 관계없이 일괄 3,000원) * 방문하여 직접 수령 시 배송료는 없습니다. 책이 크고 무겁습니다 :-( 계좌 이체만 가능합니다. 요청 시 도서구입에 따른 계산서를 발급하여 드립니다. 이메일 ( info@svsfund.org) 로 구입 내용 (O권, 이름 , 받으실 곳, 연락처, 소속, 계산서 발급 유무, 배송 요청 사항 등)을 꼭! 알려주셔요. 한정된 도서 수량과 가격 등으로 많은 분들을 위하여 전체 도서 PDF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도서 구입 및 관련 문의 기획홍보팀 T. 070-4355-2751 E. info@svsfund.org 이 책의 한국어판 저작권은 (재)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의해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전재와 복제를 금합니다.
- Chris Dobrzanski 커뮤니티포워드재단 대표 내방
2019년 4월 9일(화), 캐나다 최대 신용협동조합 밴시티(Vancity) 수석 이코노미스트이자 커뮤니티포워드재단 크리스 도브잔스키 대표님이 재단을 방문하였습니다. 재단 관계자들과 함께 뉴 마켓 펀드(New market funds)의 임팩트 투자 사례를 중심으로 캐나다 사회적 금융과 지역기금 운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참고자료 지난달 3월에 발표된 캐나다의 신용협동조합인 밴시티 (Vancity)의 총자산이 2018년 기준 19조 5천억으로 나타나, 2017년 보다 1조원 증가했습니다. 밴시티는 매해 벌어들이는 수익의 30%를 조합원과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Shared Sucess Program'을 운영 중입니다.밴시티는 1946년 14명의 밴쿠버 시민들이 2,966 달러를 출자하여 시작됐고, 2019년 현재 534,000여명의 조합원을 둔 캐나다 최대의 커뮤니티 신용협동조합 입니다.밴시티는 일반 상업은행화 되었다는 비판과 2007년 금융위기 이후 사회적 책임과 임팩트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선회했습니다. 이 후 50%의 대출을 주거, 비영리, 친환경 사업, 사회적기업 등을 대상으로한 임팩트 대출로 채워가고 있고, 밴시티의 자산은 2007년 금융위기 이후 두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2007년이후의 변화에 대해서는 아래(Full article)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영문). 01.Vancity beats 2018 income expectationsCanada’s largest community credit union’s assets increase by more than $1 billionFull article02.Impact banking: Vancity – delivering on the triple bottom lineFull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