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은 한국 최초 사회적 금융 도매기관으로 출범하여 그 동안 다양한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함께 기금 투융자를 통해 사회적 경제 및 금융 생태계의 육성과 성장을 위한 길을 걸어왔습니다. 본 보고서는 2020년말 기준으로 본 재단이 도매기금으로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함께한 투융자의 임팩트 영역과 개별 지원건별로 사회적경제기업에게 지원한 내용을 분석한 자료로, 투융자 대상인 사회적경제기업(소셜벤처포함)의 현황과 사회적 성과(SV : Social Value) 및 개별 임팩트 KPI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임팩트 심사 평가 방법
2020년말 기준으로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이 사회적 금융 도매기관으로 출범하여 진행한 개별 기금 투융자의 임팩트 보고를영국BSC를 포함한 국제 투융자기관 투자사와 운용사 등이 임팩트측정, 관리 및 보고에 있어서 임팩트 성과 관리 도구로 활용하고있는 IMP(Impact Management Project)기법을 활용 및 접목하였습니다.
*IMP에서는 임팩트 평가의 논리적인 틀로 투융자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임팩트 평가요소를 ①사회적 가치 목적(What) ②임팩트의 구체적 대상(Who) ③임팩트의 영향 정도(How much) ④차별화된 사회적 경제 생태계 기여효과(Contribution) ⑤임팩트 비발생 리스크(Risk)라는 5가지 구성 요소로 구분
사회적 금융 도매기금을 지향하는 본 재단의 역할과 미션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위해서 임팩트 효과를 사회적 경제 생태계 기여효과(1st Impact)와 사회적 금융 생태계 기여효과(2nd Impact)로 구분하여 대내외 이해관계자분들에게 재단의 임팩트 목표와 성과를 공유하고자합니다. 사회적 금융 생태계를 육성하는 효과는 해외 임팩트 투융자 기관의 임팩트 평가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신호 효과, 개입 효과, 성장촉진 효과, 유연자본화 효과로 정의하여 본 재단의 기금 투융자 심사 시 반영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 투융자 기업 현황 및 사회적 가치 성과 조사방법
본 재단은 2021년 2월부터3 월까지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의 협조로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 운영현황과 더불어 재단이 직간접으로 투융자한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재무 및 고용, 사회환원 등의 현황을 파악하였습니다. 고용 및 사회환원 등의 파악을 위한 사회적경제기업 자가 진단 설문을 포함한 주요 사회가치 및 경제적 성과(현황)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지표(SVI) 및 신용보증기금이 개발한 사회적경제기업 평가 시스템 사회가치지표(SI) 중 사회적경제기업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핵심지표를 선정 및 일부 변형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일부 분석지표는 개별 기업자료의 분포도에 따라 특이치(Outlier)를 제외하거나, 중위수 값을 적용하였습니다. 본 보고서에 나와있는 데이터는 국내 사회적 금융 시장을 대표하지 않으며 또한 본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는 현황자료는 신뢰할 수 있다고 믿어지는 공개자료 또는 본 재단의 내부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나, 이 내용이 정확하거나 완전하다는 것에 대하여는 명시적, 묵시적으로 어떠한 보증 또는 보장도 제공되지않습니다.
주요목차
SVS 기금운용현황
SVS 연계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 운영현황
SVS 연계 사회적 금융 프로그램 사회적경제기업 현황
SVS 연계 사회적 금융 프로그램 임팩트 영역분석
SVS 연계 사회적 금융 프로그램 SV 성과분석
SVS 기금투융자 임팩트 심사평가 및 임팩트 기술